-
상온 노출 독감백신 과연 안전할까? [팩트 체크]우리들의 건강 이야기 2020. 10. 2. 05:29
지난 포스트에서 올 가을과 겨울 코로나바이러스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이 닥치면 매우 위험하다고 했는데요. 그래서, 전문가들이 독감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래서 독감 예방 접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2020/10/01 - [우리들의 건강 이야기] - 코로나 바이러스와 독감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란? 얼마나 위험한가? 어떻게 대비할까? [팩트 체크]
올 겨울 독감예방을 위하여 한국의 질병 관리청은 전염병 취약 인구, 18세 이하 소아, 청소년, 임신부 노인 등을 대상으로 무료 독감 예방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지않아 독감 백신 258만 명분이 상온 노출 등 적정 보관 온도에서 유통, 보관이 되지 않았음이 알려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2000 명이 넘는 사람들이 상온에서 노출된 독감백신을 맞았음이 알려져서 많은 우려를 낳고있어요.
그러면, 적정온도에서 벗어난 독감백신을 접종하면 과연 안전할까요?
팩트체크 들어갑니다.
상온 노출 백신 정말 괜찮을까?
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0/10/06/GVXZZCI57JED5KY5ZOYY2TICN4/
정부 “독감 백신 상온에 24시간 노출돼도 효과 안 떨어져...12일쯤 접종 재개”
보건 당국이 상온(常溫) 노출 사고로 일시 중단된 독감 백신 무료 접종 사업을 오는 12일쯤 재개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6일 독감 백신 품질 조사·평가 결과를 발표하며 �
www.chosun.com
보건 당국은 상온 노출된 독감백신의 부작용과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올해 생산한 백신을 대상으로 안정성 테스트를 최근에 시행했는데요. 그 결과 "모든 제품들은 25도에서 24시간 노출되어도 품질 변화가 없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저온 (0도 미만)에서 독감백신이 얼게 될 경우에는 효력이 떨어질 수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0도 미만에 노출된 약 27만 명분의 독감 백신은 수거하여 처분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독감백신의 경우에는 2° 에서 8°C사이에서 보관되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www.cdc.gov/vaccines/hcp/admin/storage/index.html
Vaccine Storage and Handling Resources | CDC
Proper vaccine storage and handling practic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from vaccine-preventable diseases.Vaccine quality is the shared responsibility of everyone, from the time vaccine is manufactured until it is
www.cdc.gov
그러면, 상온에 노출된 독감백신은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을까요?
독감백신을 상온에 보관하게 되면, 면역력을 생성하게 해주는 항원에 문제가 생겨서 백신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꼽힙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체내 염증반응과 같은 부작용도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상온 노출 독감백신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사례가 보고되지 않다 보니, 중장기적으로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정부의 발표와 같이 품질변화와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지만, 중장기적인 관찰과 테스트를 한 것은 아니다 보니 주의가 요구됩니다.
혹시 이러한 백신 접종 후 몸에 이상 징후나 부작용 등에 문제가 생기면 지체 없이 의사를 찾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사항
제 블로그의 "우리들의 건강"에 포스팅하는 글들은 저희들과 밀접한 건강 (의료)에 관한 궁금한 점들을 주로 관련 연구논문과 자료를 확인해가면서 정리하는 포스트들입니다.
그렇지만, 의료와 건강에 대한 상담은 전문의들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들의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바이러스 2차유행 [유럽의 케이스로 배우는 코로나바이러스의 효과적인 예방] (0) 2020.10.16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아비간 (Favipiravir) 사용승인 신청 [ 업데이트] (0) 2020.10.16 존슨앤존슨사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임상실험 중단 [업데이트] (0) 2020.10.15 트럼프 대통령이 극찬한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리제네론 이란 ?] (0) 2020.10.08 코로나 바이러스와 독감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란? 얼마나 위험한가? 어떻게 대비할까? [팩트 체크] (0) 2020.10.02